본문 바로가기
주식공부

《주식 시간외 거래 완전 정리》장전·장후·동시호가·단일가 매매 완벽 이해하기

by 주식 고수를 꿈꾸며 2025. 4. 13.
반응형

주식 거래 시간 총정리: 장전 시간외, 동시호가, 장후 시간외 거래 완전 정리

주식 초보자부터 숙련된 투자자까지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할 것이 바로 "주식 거래 시간"이에요. 장전 시간외 거래, 동시호가, 장후 시간외 거래, 시간외 단일가 매매까지 헷갈리기 쉬운 개념들을 명확히 정리해드릴게요.

 

장전 시간외 거래란?

장전 시간외 거래는 정규장이 열리기 전, 오전 8시 30분부터 8시 40분까지 10분 동안 진행되는 거래 방식이에요. 전날 종가로만 거래가 가능하다는 점이 특징이에요.

장전 시간외 거래 핵심 정보

  • 거래 시간: 오전 8시 30분 ~ 8시 40분
  • 체결 가격: 전일 종가 기준
  • 체결 방식: 선착순 매매 방식
  • 장점: 장 시작 전 원하는 종목 선점 가능
  • 단점: 거래량이 적어 체결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음

동시호가란?

동시호가는 주문은 할 수 있지만, 실시간으로 체결되지 않고 일정 시간 뒤 한 번에 체결되는 제도예요. 장 시작과 마감 직전에 두 번 적용돼요.

동시호가 거래 시간

  • 장 시작 동시호가: 오전 8시 30분 ~ 9시 (9시에 일괄 체결)
  • 장 마감 동시호가: 오후 3시 20분 ~ 3시 30분 (3시 30분에 일괄 체결)

동시호가 거래의 장점과 유의점

  • 실시간 체결 X, 수요와 공급으로 결정된 단일 가격으로 체결
  • 급등락 예고 시 선반영 전략에 활용 가능
  • 허수 주문 등 시세 왜곡 주의 필요

장후 시간외 거래란?

장후 시간외 거래는 정규장이 종료된 뒤, 오후 3시 40분부터 4시까지 20분 동안 진행돼요. 당일 종가 기준으로 선착순 거래가 가능해요.

장후 시간외 거래 핵심 요약

  • 거래 시간: 오후 3시 40분 ~ 4시
  • 거래 가격: 당일 종가 고정
  • 체결 방식: 선착순
  • 장점: 장 종료 후 종목 정리 및 단기 대응 가능
  • 단점: 유동성 부족, 체결 불확실성 존재

시간외 단일가 거래는?

시간외 단일가 매매는 장후 시간외 거래 종료 후, 오후 4시부터 6시까지 진행되는 거래예요. 10분마다 단일가로 총 12회 체결되며, 장외 이슈를 반영할 수 있는 기회로 많이 활용돼요.

시간외 단일가 매매 포인트

  • 거래 시간: 오후 4시 ~ 6시
  • 체결 간격: 10분 간격 일괄 체결 (12회)
  • 가격 범위: 당일 종가 ±10% 내 제한
  • 장점: 공시, 뉴스 반영 가능 / 변동성 활용 가능
  • 단점: 실시간 매매 아님 / 호가 전략 필요

시간외 거래 활용 전략

  1. 공시 후 빠른 선점 전략: 장 마감 직후 좋은 실적 발표나 호재 공시가 나온 경우, 시간외 단일가 매매를 통해 매수 우위 확보 가능
  2. 리스크 회피용 매도 전략: 악재가 발생했을 때 시간외 매도를 통해 손실 최소화
  3. 단기 차익 매매 전략: 종가 대비 급등한 종목을 활용한 다음날 시가 매도 전략

시간외 거래 시 꼭 알아야 할 유의사항

  • 체결 불확실성: 주문량이 적어 미체결 가능성 존재
  • 호가 단위 신중히 확인: 종종 급격한 호가 변화 발생
  • 정보 비대칭성 존재: 일반 투자자는 늦게 공시를 확인하는 경우가 많아 리스크 있음

실전 매매 팁: HTS/MTS 주문 요령

증권사 앱이나 HTS에서는 거래 유형을 정확히 선택해야 해요. '시간외종가', '시간외단일가' 옵션을 잘못 선택하면 원하는 시간대에 체결되지 않을 수 있어요. 미체결 주문도 꼭 확인해야 해요.

자주 하는 오해 바로잡기

  • 시간외 단일가에서 상승했다고 다음날 상승하는 건 아니에요. 매수세보다 매도세가 많아지면 시초가 급락 가능성도 있어요.
  • 동시호가에서는 내가 입력한 가격이 그대로 체결되지 않고, 수요·공급 최적점에서 단일 가격으로 체결돼요.

마무리하며

정규장 외에도 다양한 거래 방식이 존재하는 만큼, 장전 시간외 거래, 동시호가, 장후 시간외 거래, 그리고 시간외 단일가 매매의 정확한 개념과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해요. 이를 잘 활용하면 뉴스에 빠르게 대응하거나 투자 전략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어요. 주식은 타이밍의 싸움이기도 하니까요.

이 글이 도움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로 응원해 주세요 :)

반응형